본문 바로가기
정보

내 차 휀다 부식,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외형복원 셀프 가이드!

by 290sakfjasf 2025. 8. 8.

내 차 휀다 부식, 쉽고 빠르게 해결하는 외형복원 셀프 가이드!

 


목차

  1. 휀다 부식, 왜 생길까요?
  2. 부식 범위 확인하기: 자가진단법
  3. 셀프 복원 준비물
  4. 휀다 부식 복원 3단계
  5. 복원 후 관리 팁
  6. 전문 업체를 찾아야 하는 경우

1. 휀다 부식, 왜 생길까요?

자동차 휀다 부식은 미관을 해치는 것뿐만 아니라 차량의 내구성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부식은 주로 염화칼슘이 많이 뿌려지는 겨울철이나 습한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특히 도로 위 작은 돌멩이나 이물질이 튀어 휀다 부분에 미세한 상처를 내면, 그 틈으로 수분과 염분이 스며들어 부식을 촉진하게 됩니다.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방치할 경우, 부식은 점점 더 넓게 퍼져나가며 철판에 구멍이 생기는 심각한 상황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 부식의 원리를 이해하고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 부식 범위 확인하기: 자가진단법

셀프 복원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부식의 범위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입니다. 먼저 육안으로 휀다 주변의 페인트가 부풀어 오르거나 벗겨진 곳, 혹은 붉은 녹이 슬어있는 부분을 찾아보세요. 손가락으로 가볍게 두드려보았을 때 속이 비어있는 듯한 소리가 나거나, 철판이 약해진 느낌이 든다면 이미 내부까지 부식이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페인트가 살짝 벗겨진 수준의 경미한 부식이라면 셀프 외형복원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지만, 철판에 구멍이 뚫릴 정도로 심각한 부식이라면 전문 업체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합니다.

3. 셀프 복원 준비물

자동차 부식쉽고 빠르게 복원하기 위한 준비물을 미리 갖춰두면 작업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아래 목록을 참고하여 필요한 도구를 준비해 보세요.

  • 사포 (샌드페이퍼): 녹을 제거하고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 데 사용합니다. 180방, 320방, 600방, 1000방 등 다양한 종류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방청제 (녹 전환제): 녹을 안정화시키고 추가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퍼티 (자동차용): 녹을 제거한 자리에 생긴 흠집이나 푹 들어간 부분을 메워 표면을 평평하게 만듭니다.
  • 프라이머 서페이서: 퍼티 작업 후 도장면의 접착력을 높여주고 색이 잘 입혀지도록 도와줍니다.
  • 스프레이 페인트: 차량 색상과 정확히 일치하는 제품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투명 코팅제 (클리어 코트): 도장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내는 마지막 단계에 사용됩니다.
  • 마스킹 테이프: 주변 부위에 페인트가 묻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장갑, 보안경, 마스크: 작업 중 이물질 흡입이나 피부 접촉을 방지합니다.

4. 휀다 부식 복원 3단계

이제 본격적으로 휀다부식쉽고 빠른 방법으로 외형복원하는 과정을 3단계로 나누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4-1. 1단계: 녹 제거 및 표면 정리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부식된 부분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입니다. 먼저 마스킹 테이프를 이용해 작업할 부위 외에 페인트가 묻지 않도록 꼼꼼하게 감싸줍니다. 그다음 거친 사포(180방)로 부식된 녹과 들뜬 페인트를 긁어내세요. 이때 녹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그리고 주변 페인트와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부드럽게 작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녹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는 320방, 600방 사포 순으로 점차 고운 사포를 사용해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줍니다. 녹을 제거한 자리에 방청제를 뿌려주면 추가적인 부식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4-2. 2단계: 퍼티 작업 및 도장 준비

녹을 제거한 자리에 움푹 들어간 부분이 있다면 퍼티로 메워줘야 합니다. 헤라를 이용해 소량의 퍼티를 얇게 펴 바르고,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퍼티가 마른 후에는 600방 사포로 평평하게 다듬어주고, 먼지를 깨끗이 닦아냅니다. 그다음 프라이머 서페이서를 뿌려 도장면의 접착력을 높여주세요. 프라이머가 마르면 1000방 정도의 아주 고운 사포로 가볍게 표면을 다듬어주면 완벽한 도장 준비가 완료됩니다.

4-3. 3단계: 도색 및 마감

차량 색상과 일치하는 스프레이 페인트를 흔들어 잘 섞어준 후, 20

30cm 정도 거리를 두고 얇게 여러 번 뿌려줍니다. 한 번에 두껍게 뿌리면 페인트가 흘러내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1차 도색 후 10분 정도 건조시키고 다시 덧칠하는 과정을 3

4회 반복합니다. 페인트가 완전히 마르면 투명 코팅제(클리어 코트)를 동일한 방법으로 얇게 여러 번 뿌려줍니다. 클리어 코트는 도장면을 보호하고 광택을 살려주며, 셀프 복원 작업의 완성도를 높여줍니다. 모든 작업이 끝난 후에는 마스킹 테이프를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될 시간을 줍니다.

5. 복원 후 관리 팁

셀프 복원 작업으로 휀다 부식을 해결했다면, 재발 방지를 위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세차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왁스나 코팅제를 주기적으로 발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염화칼슘이 묻은 차량을 방치하지 말고, 틈틈이 하부 세차를 하는 것이 자동차 부식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6. 전문 업체를 찾아야 하는 경우

자동차 부식은 초기에는 셀프 외형복원으로 충분히 대처할 수 있지만, 부식의 정도가 심각하거나 철판에 구멍이 뚫린 경우, 혹은 부식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 업체를 찾아야 합니다. 철판 교체나 용접 등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작업은 개인이 진행하기 어렵고, 잘못 시도할 경우 오히려 차량에 더 큰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에게 맡기면 보다 안전하고 완벽한 복원이 가능하며, 재발 확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